본문 바로가기
생활

월급 고정급 vs 시급: 차이점과 계산 방법

by 어프의 생활 2025. 3. 14.
반응형

돈비

 

직장에서 받는 급여 형태는 크게 월급(고정급)과 시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급여 방식은 본질적으로 다르며, 급여를 계산하는 방식에서도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오늘은 고정급시급의 차이점과 각각의 급여 계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특히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고정급(월급)의 특징과 계산 방법

고정급은 매달 일정한 금액을 받는 형태의 급여입니다. 대부분의 정규직 직장인들이 이 방식으로 급여를 받습니다. 고정급의 가장 큰 특징은, 근무 시간과 상관없이 정해진 금액을 매월 일정하게 지급받는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월급은 변동이 없으며, 휴일이나 휴가를 사용해도 급여는 그대로 지급됩니다.

고정급 계산 방법

고정급은 월급으로 받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급여를 따로 계산할 필요 없이 고정된 금액을 매월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300만 원의 고정급을 받는다면, 매달 변동 없이 300만 원을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정급을 받을 때에는 주휴수당, overtime(초과 근무) 수당, 성과급 등 추가적인 수당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그 수당을 별도로 계산하여 월급에 더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 월급: 3,000,000원
  • 연봉: 36,000,000원 (3,000,000원 × 12개월)

따라서 매월 받는 금액은 고정급으로 일정하게 3,000,000원이 됩니다. 이 외에도 보너스나 수당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시급의 특징과 계산 방법

시급은 근무한 시간에 비례하여 급여가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아르바이트, 시간제 근무자에게 적용됩니다. 시급의 가장 큰 특징은 근무한 시간만큼 급여가 지급된다는 점입니다. 즉, 월급이 아닌 시간당 급여를 받게 되며, 일한 시간이 길수록 급여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시급 계산 방법

시급은 근무한 시간을 기준으로 급여를 계산합니다. 보통 시급 × 근무 시간으로 계산이 되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초과 근무 시간이나 휴일 근무가 있을 경우 추가 수당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급이 10,000원이고 하루에 8시간 근무했다면, 그날의 급여는 10,000원 × 8시간 = 80,000원이 됩니다.

 

예시:

  • 시급: 10,000원
  • 근무 시간: 8시간/일
  • 월 근무 시간: 20일 × 8시간 = 160시간

월급 계산:

  • 10,000원 × 160시간 = 1,600,000원
    따라서 시급으로 받은 급여는 월 1,600,000원이 됩니다.

3. 고정급 vs 시급,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까?

고정급과 시급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 결정하는 데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습니다.

  • 안정성: 고정급은 매달 일정한 금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재정적인 안정성이 더 강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수입이 중요한 경우 고정급이 유리합니다.
  • 근무 시간: 시급은 근무 시간에 따라 급여가 달라지므로, 근무 시간을 많이 할애할 수 있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초과 근무나 추가 근무를 많이 할수록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근무 시간의 변동성: 고정급은 근무 시간이 적더라도 급여가 일정하지만, 시급은 근무 시간이 적을 경우 급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시급 근무자는 근무 시간이 많아야 수입이 증가합니다.

4. 초과 근무와 휴일 근무 수당

시급 근무자의 경우, 초과 근무나 주말, 공휴일 근무 시 수당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적으로 시급을 기준으로 1.5배, 2배의 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급 근무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고정급 근무자는 초과 근무 수당이 별도로 지급되거나 성과에 따라 추가 보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고정급과 시급은 급여 계산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고정급은 일정한 금액을 매달 받는 안정적인 방식이며, 시급은 근무 시간에 따라 급여가 변동되는 방식입니다. 각 방식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생활 패턴과 근로 환경에 맞는 급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정급은 안정적인 수입을 원할 때 유리하고, 시급은 근무 시간을 조절하거나 추가 근무를 통해 더 많은 급여를 받고 싶은 경우 유리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춰 최적의 급여 방식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