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원룸 이사 준비 체크리스트, 이사 꿀팁

by 어프의 생활 2024. 10. 18.
반응형

1인 가구 비율이 36%가 넘고, 자취생 중에 원룸에 거주하는 사람의 비율은 60%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원룸 이사도 많을 것 같아 원룸 이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원룸이사 썸네일
원룸이사 체크리스트

 

이사준비 체크

1. 계약 1달 전 집주인에게 통보

계약할 때 2달이나 3달 전에 얘기하기로 했다면 계약서 상에 따라 미리 나갈 거라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서로 분쟁이 없습니다.

 

통화를 했다면 녹음을 하고 문자로 했다면 지우지 않고 증거로 남겨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꿀팁! 처음 계약서를 작성할 때 계약 만료되면 바로 보증금을 돌려주는 조항을 넣으면 좋습니다.

2. 새 집 찾기

지금 살고 있는 집에서 나가기로 마음 먹었다면 당연히 새로 이사 갈 집을 구해야 합니다. 다양한 부동산 어플이 있으니 이를 활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동산 어플은 네이버부동산, 다방, 직방 등이 있습니다. 이사갈 곳을 근처로 찾는다면 당근에도 매물이 많이 올라오니 알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어플로 알아 본 다음에는 당연히 직접 집을 봐야 합니다. 직접 가서 보고 위치는 괜찮은지, 햇빛은 잘 들어오는지, 환기는 잘 되는지 꼼꼼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주변에 소음 유발 시설과 유흥업소 등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압은 괜찮은지 배수는 잘 되는지 하수구 냄새는 나지 않는지 등등 체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꿀팁! 원룸 계약시 전기나 수도 계량기가 세대별로 분리되는지 확인합니다.

3. 새 집 계약

드디어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했다면 계약을 진행합니다. 등기부 등본을 잘 확인하고 계약금, 근저당, 관리비 등 모두 확인합니다.

 

수리할 곳이 있다면 들어가기 전에 미리 수리를 해 줄 것을 요구합니다.

 

여기서 꿀팁! 계약서 분실을 대비해 계약서를 찍어두면 좋습니다.

4. 이사 계획

언제 이사를 갈 건지, 비용은 얼마를 쓸 건지, 보관이사를 할 건지 등 계획을 세워 봅니다.

 

시간은 오전으로 잡는 게 다음에 들어올 사람을 위해 좋지만, 새로 가기로 한 집이 공실인지 아닌지 파악한 뒤에 정해야 합니다. 도착했는데 이사할 곳 짐이 그대로 있다면 난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일반 승용차로도 이사가 가능할 만큼 짐이 적다면 주변 인맥의 도움을 받아 셀프이사를 하면 비용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일반이사는 1톤 트럭 1대만 빌려서 가면 될 정도로 짐이 적다면 반포장이사보다 더 낮은 가격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포장이사는 짐을 싸는 것 부터 이사해서 정리해 주는 것까지 일사천리로 모두 진행해 주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 있습니다.

 

반포장 이사는 짐을 싸서 이사를 해 주지만 큰 가구만 원하는 위치에 놓아주고 정리는 직접해야 하는 부담이 있지만 포장 이사에 비해서는 저렴합니다.

5. 이사업체 선정

이사 계획을 모두 세웠다면 이제 이사 업체를 알아봅니다. 보통 세 곳 이상의 견적을 받아본 뒤, 가장 마음에 드는 곳으로 정해 계약하면 됩니다.

 

이삿짐센터는 네이버 검색이나 카페 등을 활용하여 알아보면 됩니다. 혹시 사다리차를 이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으면 사다리차 선택 여부도 포함해서 계약합니다.

6. 이사 전 집 정리

짐은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포장 이사를 선택했다면 상관없지만, 반포장이사 아래로 선택했다면 짐 정리를 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괜찮은 물건이지만 쓸모가 없다면 중고로 팔아봅니다. 폐기물은 스티커를 붙여 내놓으면 됩니다. 

7. 이사 갈 집 청소

이사를 갈 집을 미리 청소를 해 둡니다. 공실이 아니라서 하자 점검을 못 했다면, 청소하면서 꼼꼼하게 확인하고, 이사 가기 전에 하자 보수를 꼭 요구합니다.

 

여기서 꿀팁! 청소하면서 집 내부 구석구석 사진을 찍어 두면 좋습니다. 계약 만료될 때 원상복구를 요구하면 미리찍어 놓은 사진이 증거가 됩니다.

8. 이삿날 공과금 정산

자동이체를 설정해 두었다면 해지하고, 도시가스는 가스 해체 시에 기사님께 정산하면 됩니다. 전기세는 한전에 전화해서 정산합니다.

 

이사 나오는 날 집주인과 관리비 정산 후, 전세나 보증금을 돌려 받습니다. 만약 외부업체만 이용하여 이사를 진행한다면 이삿짐 빼기 전에 미리 집주인에게 연락해 정산받습니다. 

9. 전입신고와 임대차신고를 진행합니다.

주소변경이 필요한 사이트들은 직접 주소 변경을 해줍니다. 우편물의 경우는 우체국의 주소변경서비스가 있으니 신청하시면 됩니다.

 

부동산에 복지를 냈다면 연말정산을 위해 현금영수증을 받습니다. 새 집에 전기와 가스 수도 검침기 숫자를 사진으로 찍은 다음에 공과금이 잘 정산 됐는지 확인합니다.

 

마무리하며

이사 준비하는 일이 참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확인해서 하나하나 잘 준비하면 좋겠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통신금융사기 종류  (10) 2024.10.21
전기통신금융사기  (8) 2024.10.19
이사 준비 시 꼭 알아둬야 할 8가지 팁  (3) 2024.10.17
전기 요금 절약 방법  (2) 2024.10.16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는 10가지 방법  (7) 2024.10.15